『한』가족
입석 항공권 등장, 일반화 될 수 있을까? 본문
지금은 사라진 풍경이 되어 버렸지만, 명절 때면 기차표를 구하기 위해 서울역에 장사진을 치던 광경을 흔히 볼 수 있었다. 모처럼의 고향 방문을 위해서는 길에서의 밤샘도 감수했던 시절이다. 물론 요즘은 인터넷 등 통신 환경 발달로 사전 예약 등이 도입됨에 따라 이런 풍경은 옛 기억이 되어 버렸지만 말이다.
이렇게 밤샘을 해서도 기차 좌석을 구하지 못한 사람들이 마지막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좌석이 아닌 입석 기차표라도 구하는 것이었다. 비록 몇 시간을 서서 이동해야 하지만 고향으로 갈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입석 기차표는 감지덕지 했었다.
좌석에 비해 형편없이 불편한 만큼, 입석 기차표 가격은 상대적으로 저렴했다.
이런 기차 입석표의 추억이 항공권으로 돌아올 조짐을 보이고 있다.
얼마 전 중국의 Spring 항공이 입석 항공권(Standing Room Tickets)을 판매하겠다고 밝힌 적이 있었다. 사실 이 기사를 처음 접했을 때는 항공사들이 이것 저것 추진을 위해 타진해보는 정도라고 느꼈다. 특히 중국 항공사가 추진한다는 말에 '이거 가십거리 아냐' 라는 생각이 강했으니 말이다.
입석 항공권을 판매하겠다고 선언한 라이언에어와 중국 스프링항공
그런데 다른 기사를 보니 이 Spring 항공이 입석 항공권 판매를 낙관하는 이유가 중국의 고위 관리자가 항공사를 통해 직접 입석 항공권을 추진해 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는 것인데, 이를 통해 현실화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이 소식을 접한 유럽의 유명한 저가 항공 라이언에어의 최고경영자인 Michael O'Leary는 이 중국 Spring 항공의 입석항공권 (Standing Room Tickets) 시도를 참신하다고 생각했던 모양이다. 라이언에어(Ryanair)도 입석 항공권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당장 미국 항공기 제작사인 보잉과 Standing Room 설치를 위한 디자인 협의에 들어갔다고 한다. 항공기내에 안전벨트가 달린 수직바를 설치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데, 항공부문 안전 기준을 완벽하게 충족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라이언에어는 입석 항공권을 비행시간 2시간 이내 구간에서 상당히 효율적일 것이며, 이를 통해 기존 항공기보다 승객이 20-30퍼센트 더 많이 탑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2년 후에는 입석 항공권이 본격적으로 선보이게 될 전망이다.
그런데 입석 항공권이라는 것이 그렇게 효과적일까? 그리고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일까?
당장은 그리 효과적인 것도 아니고, 모든 항공사에게 필요한 것도 아니라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안전 문제가 최대 현안은 아니다. 수직봉에 안전벨트를 설치해 운영한다는 생각은 항공기 제작사의 충분한 검토를 통해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에어버스에서는 이 Standing Room 용 장비(?) 디자인을 선보인 바도 있다. 이런 논의가 조금 더 활성화된다면 본격적으로 더 나은 다른 방법을 찾게 될지도 모르고 말이다.
가장 큰 문제는 항공기 탑재능력이 부족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현재 운항되는 모든 항공기는 좌석 수에 따른 승객 수와 부치는 수하물, 그리고 화물 탑재 능력을 고려해 생산된다.
즉, 현재 항공기들은 설치된 좌석 수만큼의 승객 무게를 고려해 만든 것인데, 위 라이언에어 주장처럼 20-30퍼센트 승객이 더 많이 탑승하게 된다면 항공기는 승객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크다. 이렇게 되면 부치는 수하물이나 화물량을 줄일 수 밖에 없는데, 이게 일반 항공사 입장에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일반 항공사들은 승객을 태우고, 그에 따른 수하물, 화물 등을 전부 탑재해야 하기 때문이다. 부치는 수하물을 없앨 수도, 화물을 줄이기도 쉽지 않다. 결국 이런 입석 항공권은 항공기 탑재능력을 고려한다면 부치는 위탁 수하물을 최소화해서 항공기에 탑재하는 무게를 줄여야 그만큼 승객을 더 태울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에어버스가 제안한 입석 좌석 디자인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라이언에어처럼 부치는 수하물에 전부 요금을 부과해 그 양을 최소화하거나, 아예 부치는 위탁 수하물을 없앨 수 밖에 없다. 라이언에어나 다른 저가 항공들은 저렴한 항공권을 무기로 이런 위탁 수하물 서비스를 축소하거나 없애는 데 비교적 용이할 수 있다. 비행 시간도 비교적 짧은 1-3시간 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일반 메이저 항공사들 입장에서는, 항공여행의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는 승객과 위탁 수하물 중 하나인 위탁 수하물을 없애기는 쉽지 않다. 승객들의 반발은 물론이거니와 장거리 구간을 운항하는 비행에서 승객들이 수하물 없이 여행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입석 항공권의 목적이 조금 더 저렴한 항공권을 통해 많은 승객을 유치한다는 것이라고 한다면 일반 항공사들은 굳이 입석을 만들어 가면서까지 저렴한 항공권을 판매할 이유가 별로 없기 때문에 입석 항공권은 저가 항공에 국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물론 입석 항공권이 보편화되는 분위기를 고려해, 항공기 제작사가 (탑재능력이) 더 나은 항공기를 만들어 내거나, 항공 수요가 폭증해 항공기 공급좌석이 부족해지는 상황이 된다면, 일반 항공사에게까지 입석 항공권이 일반화될 가능성은 있다 하겠다.
어쨌거나 '한번 한다면 하는' 저가 항공 대표주자 라이언에어가 입석 항공권을 들고 나온만큼 머지않은 미래에 항공기에서도 입석을 구경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
[항공소식] 라이언에어, 수하물 No ! 갬블링 Yes ? (2009/07/01)
[여행정보] 승객 여러분! 짐을 직접 비행기까지 날라주세요^^ (2009/05/20)
[항공소식] 라이언에어, 체크인 카운터 없앤다. 100% 웹체크인 (2009/03/15)
[항공소식] 라이언 에어, 화장실 유료화 준비. 카드 지참 하세요^^ (2009/03/07)
[항공소식] 승무원 비키니 캘린더 유행, 메이킹 동영상까지 (2009/01/31)
[항공소식] 기내에 무거운 가방 휴대하면 벌금, 라이언에어 (2009/02/09)
- Tag
- Ryanair, Spring Airlines, Standing Room, Standing Seat, Ticket, 라이언에어, 수하물, 여행, 입석, 저렴, 추억, 티켓, 항공권
-
구차니 2009.07.08 11:59 전에 농담으로 했던 말인데 정말 현실이 되는군요 -ㅁ-!
흐음.. 이제 남은건 비행기에 매달려가기(!)
화물칸에 저렴하게 실려서 가기 정도가 남은건가요? -
마래바 2009.07.08 12:07 신고 농담이 아니라 예지력을 가지신 건 아닐까요? ^^
-
JUYONG PAPA 2009.07.08 14:42 ㅋㅋ 정말 발상을 뒤짚는 생각이네요.
1시간정도면 모를까...몇시간씩 장거리에 입석이면 정말 불편할법도 한데...
저는 타라고해도 못탈거 같네요. ^^ -
마래바 2009.07.13 21:13 신고 저두 돈 조금 더 주고 앉아서 갈랍니다. ㅎㅎ
-
송지하 2009.07.08 16:51 라이언에어라면 입석승객에겐 수하물을 없애버리고도 남을 것 같은데요?...^^;
-
마래바 2009.07.13 21:13 신고 이미 좌석있는 승객들 짐도 가능하면 받지 않으려고 하는데요 뭐,. ㅎㅎ
-
변성탱이 2009.07.08 18:53 와 입석..ㄷㄷ 얼마나 이용할지 모르겠지만.. 저렇게 고생하면서까지 뱅기타고 싶진 않을듯.. 그냥 일반버스 서서 가기도 싫은데..ㄷㄷ
-
마래바 2009.07.13 21:15 신고 혹시 모르죠.. 한 시간 비행 정도고 값이 워낙 저렴하다면 고려해 볼 수도...
-
크리넥스 2009.07.08 20:44 서서 밥먹으면 체합니다..ㅎㅎㅎ
-
마래바 2009.07.13 21:16 신고 밥 안줄텐데요 뭐.. ㅋㅋ
-
일본이나 중국갈땐 타도 될듯 ... 2009.07.08 23:25 4시간 안이면 머 젊고 건강하다면 가능할때 ...대신 가격이 반이상 싸지 않다면 ..
이용안할듯 그정도 메리트 없다면 저 고생할 필요없을듯 -
마래바 2009.07.13 21:17 신고 그럼요.... 적어도 기존 항공권 대비 절반 이하 가격은 되어야 메리트가 있을 듯 싶습니다.
-
Xeonia 2009.07.09 00:25 가격이 괜찮아도
진짜 혈기 왕성한 젊은이들을 위한게 되겠네요 -
마래바 2009.07.13 21:17 신고 서서 수다 떨면 더 재밌을까요? ㅎㅎ
-
빛이드는창 2009.07.09 14:47 비행기를 타는건데..
이렇게 고생을 할꺼면 차라리 타지않겠습니다
ㅠㅠ!! -
마래바 2009.07.13 21:18 신고 너무 고생시킨다는 생각은 드네요..ㅎㅎ
-
김치군 2009.07.10 11:53 1-2시간 비행이라면 괜찮을 것 같네요 ^^
-
마래바 2009.07.13 21:18 신고 여행 잦은 분들이라면 메리트 있을 듯 싶습니다.
특히 김치군님이라면...^^ -
극악 2009.07.10 22:54 입식이면 만에하나 사고가 났을때 훨씬 더 위험하지 않을까요?
-
마래바 2009.07.13 21:18 신고 사고에는 대비하겠죠? 그정도는 미리 점검할 겁니다.
-
니나노 2009.07.13 15:35 ㅋㅋ 무슨 고문대 같아요.
입석이라길래 당연히 복도에 서는건줄 알았는데..
겨우 5인치 좌석 간격 줄이는것으로는 효율적이지 않은것 같네요. ㅋ -
마래바 2009.07.13 21:19 신고 에어버스 제안인데요.. 보잉은 어떨 지 모르겠습니다.
-
젤가디스 2009.07.15 07:11 참신한(?) 아이디어네요. 저는 입석이 많이 싸다면 한번쯤 시도해 보고 싶네요. ^^
-
마래바 2009.07.17 09:08 신고 가까운 거리 한 두번은 괜찮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