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족
기내 수하물 요금 부과, 법으로 저지한다. 본문
바야흐로 저비용 항공이 확산되는 지금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저렴한 항공여행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반대로 말하면 자칫 잘못하다가는 막연한 기대감이 실망으로 돌아올 수도 있다는 말이다. 저비용항공이 항공권 요금이 저렴하다는 한 가지만으로도 분명 매력적인 요인 중 하나지만 도처에 함정이 많아 정신을 바짝 차리지 않으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경우를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항공권 싸다고 구입했다가 공항에 나가보니, 부치는 수하물 요금을 받는다든지, 비행기를 놓쳤는데 티켓 환불이 안된다든지 하는 경우를 왕왕 찾아볼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저비용항공사들이 받는 요금에는 별의 별 요금이 다 있다.
기내식을 돈 받고 파는 건 물론이고, 기내 담요에도 요금을 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는 화장실도 이용 시에는 돈을 내야 하는 (계획을 가진) 항공사 (라이언 에어) 도 있을 정도다.
얼마 전 미국 저비용항공사인 스피리트항공(Spirit Airlines)이 세계에서 최초로 기내 반입하는 짐에도 요금을 부과하기로 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다.
이런 옷이 등장할 지도..
이런 상황이 지나치다고 판단했던지 법적으로 제동을 거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미국 상원의원인 Ben Cardin 과 Mary Landrieu 가 그 주인공으로 '적어도 기내 반입하는 가방은 개인에게 매우 중요한 물건' 이기 때문에 이런 중요한 개인 휴대품에 요금을 부과하는 것은 잘못 되었다는 것이다.
"현 시점에서 이제 막 항공사 하나가 기내 휴대품에 요금을 부과하겠다고 나섰습니다. 지금은 하나지만 이런 분위기가 확산되는 것은 막아야 합니다."
이런 주장에 동료 의원들도 적극 찬성하는 분위기여서 머지않아 기내 휴대품에 대한 요금 부과 금지 법안이 제정될 전망이라고 한다.
하지만 당사자인 스피리트항공은 올 8월 1일로 예정되어 있는 기내 휴대품 요금 부과를 강행할 태세다.
"기내 혼잡은 안전에 도움되지 않으며, 간편한 움직임으로 인해 탑승이나 내릴 때 훨씬 시간이 단축될 것이므로 효율성 측면이나 서비스 면에서 소비자에게 이익이 될 것입니다."
기내 휴대품 요금 부과를 역설하는 스피리트항공 회장
기내 휴대품에 까지 요금을 부과하는 행태는 아무리 곱씹어봐도 좋은 눈으로 바라봐 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를 법으로 금지하거나 제재하는 것은 기업의 자율성을 해치고 결국에는 항공요금이 더 저렴해 지는데 방해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무조건 막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어처구니 없는 정책을 그냥 놔둘 수만은 없다. 결국 소비자의 피해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스피리트항공의 이 기내 휴대품 요금 부과 계획은 소비자 선택이 아닌 법에 의해 판단받게 될 전망이다. 누가 이기게 될지 그 결과에 시선이 모아진다. ^^
-
구차니 2010.04.23 10:05 과도한 짐에 대해서는 좀 물리면 좋겠다 싶을 정도로 몇몇 분들이
캐리어에 가방에 손가방에 우르르 들고 타시더라구요.
'과도한' 이라는 주관적인 값을 객관적인 수치인
'부피'나 '무게' 로 바꾸어야 겠지만, 개인적인 욕심에는 정말
무게가 적어도 부피가 너무 크다면 수하물로 못하고 짐으로 붙이도록 강제해야 한다고
생각이 들곤합니다. -
마래바 2010.04.27 11:20 신고 말씀대로 '과도한' 이라는 주관적인 기준보다는 객관적인 무게나 부피가 제시되어야 하긴 할 겁니다.
물론 그래서 좌석 아래 보관할 만한 물건은 제외한다고 했지만 이것도... -
블루버스 2010.04.23 14:35 당일치기 비즈니스 고객이 아니면 가방이 전혀 없을 수는 없을텐데요.
화장실이야 안가면 그만이겠지만 휴대품까지 요금을 부과하는 건 심하다 싶기도 합니다.^^ -
마래바 2010.04.27 11:21 신고 그래서 세계 최초이고, 법으로도 막으로 하는 것 같습니다. ^^
-
변성탱이 2010.04.23 18:17 솔직히 너무한단..짐이 없는 사람이 몇이나될지..
-
마래바 2010.04.27 11:21 신고 남의 일일때는 괜찮은데 막상 내가 그 입장이 되면 너무 한다는 생각이 화악 다가올 것 같습니다. ^^
-
젤가디스 2010.04.24 15:47 법으로 저지할 경우 이게 저비용 항공사들의 갖가지 비용부과를 막게될 첫번째 법이 될지 걱정됩니다. 그래서 저비용 항공사가 문을 닫게된다면 소비자 항공사 둘다 안좋게 될테니 말이죠.
-
마래바 2010.04.27 11:22 신고 그래서 무엇이든 적당한 게 중요합니다.
중요이라는 것. 과유불급이죠. -
송지하 2010.04.25 14:25 나..참... 기내 안전과 탑승의 간편함을 위해 돈을 받겠다니... 짐없이 여행가라는것도 아니고.....^^;
-
마래바 2010.04.27 11:22 신고 비행기 내 객실에 광고까지 하는 항공사이니...
-
바람처럼~ 2010.04.26 15:07 저가항공이 짐에 대해 요금을 부과하는건 그렇다쳐도...
기내에 들어가는 짐까지 돈을 내라는건 좀 지나쳐보이긴 하네요 -
마래바 2010.04.27 11:22 신고 그렇죠? ^^
-
Hukuma 2010.04.26 21:25 어쨋든 비행기는 무게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점.
짐이 없는 사람은 그만큼 싸게 항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
에만 한정된다면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 합니다만,
국제선을 타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짐이 있다는 전제하에서 보면,
저가라고 하기엔 역부족이지 않을까요?^^ -
마래바 2010.04.27 11:23 신고 이런 제도(요금 부과)를 통해 다른 잇점이 생긴다면 모르지만, 수익만을 위한 것이라면 지나치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