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한』가족
비행기는 새(Bird, 鳥)가 무섭다 ^^ 본문
비행기도 하늘을 난다.
태초부터 날 수 없는 동물로 태어나 하늘을 바라보며 창공을 날아다니는 새를 동경해 온 인간은 몇천년간의 노력과 시도 끝에 근세에 이르러 드디어 새처럼 하늘을 나는 꿈을 이루었다.
감히 그 동안 아래서 위만 바라보던 인간의 시각을 이제 위에서 아래도 내려다 볼 수 있도록 그 범위를 넓혀 주게 된 것이다.
이렇게 하늘을 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인간 생물학적 불가능을 극복하게 하는 보조 장비, 즉 하늘을 날 수 있는 장치를 통해서다.
그 보조장비가 비행기다.
라이트 형제 (오빌 라이트, 윌버 라이트)가 최초로 기구가 아닌 공기보다 무거운 기계로 하늘을 나는 비행기를 발명(1903.12.17)한 이래 무수히 많은 발전과 변화를 이루어왔다.
하늘을 나는 방식도 많은 변화를 가져와 프로펠러 형식에서 최근의 제트엔진 방식으로 급격한 발전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첨단의 기술을 동원해 성능 향상을 이루면 이룰 수록 아마도 위험성에 더욱 증가하는 것은 아이러니하지만 자연스런 현상일지도 모른다. 마치 자동차가 없던 시절보다 현재가 더 많은 사람들이 자동차로 인한 죽음의 추가 가능성을 안고 사는 것을 보면 말이다. 편리함에 대한 반대 급부인가? ^_^
비행기는 새를 무서워 해?
지금까지는 전혀 위협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존재가 비행기의 발전과 더불어 위험한 존재로 바뀌어버린 게 하나 있다.
그건 다름아닌 "새", "Bird"
항공기와 새.. 위험천만
기껏해야 몇 백그램에서 몇 키로그램 정도에 불과한 작은 새 한마리가 B747 점보 비행기와 부딛히기라도 한다면 단순히 정비를 위해 항공기를 땅에 세우는 정도를 넘어 화재나 추락의 경우까지 발생시킬 수 있다는 얘기다.
이를 흔히 "버드 스트라이크 (Bird Strike)"라고 부른다. 조류 충돌...
얼마 전에도 모 TV 드라마의 소재로 공항에서 벌어지는 새와의 전쟁을 잠시 다룬 적이 있다.
그럼 새가 비행기랑 부딛혀 발생하는 영향은 어느정도일까?
1.8kg의 새가 시속 960km로 나는 항공기와 부딪치면 64톤 무게의 충격을 준다고 한다.
사실 항공기가 어느 정도 고도로 올라가면 새와 충돌할 가능성이 별로 없고 주로 항공기가 공항 활주로에서 뜨고 내릴 때, 그리고 공항으로 Approach 단계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를 통해 가정해 볼 때 어느정도 속도가 줄어든 시속 370km 정도 속도의 항공기와 0.9kg 짜리 청둥오리 한 마리가 부딛히면 항공기는 순간 약 4.8톤의 충격을 받게 되고, 이때 항공기는 상처 또는 파손을 당하게 된다.
1.8kg의 새가 시속 960km로 나는 항공기와 부딪치면 64톤 무게의 충격을 준다고 한다.
사실 항공기가 어느 정도 고도로 올라가면 새와 충돌할 가능성이 별로 없고 주로 항공기가 공항 활주로에서 뜨고 내릴 때, 그리고 공항으로 Approach 단계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를 통해 가정해 볼 때 어느정도 속도가 줄어든 시속 370km 정도 속도의 항공기와 0.9kg 짜리 청둥오리 한 마리가 부딛히면 항공기는 순간 약 4.8톤의 충격을 받게 되고, 이때 항공기는 상처 또는 파손을 당하게 된다.
겨우 1kg도 안되는 새가 항공기를 파손 시킨다고?
새가 날아다니다가 항공기 몸체하고 부딛혀도 기체에 손상을 입히는데, 항공기 엔진으로 빨려 들어가기라도 하면 블레이드가 부서지는 등, 심지어는 화재나 추락 등으로 승객의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다음은 엔진이 아닌 항공기 날개 부분에 부딛혀 발생한 버드스트라이크 흔적이다.
0123
이 정도가 되면 항공기의 정상적 운항은 불가능하다. 세워놓고 정비하는 수밖에...
그 다음 비행을 위한 구간에 이미 예약한 승객이나 화물 등의 운송 방법을 죄다 바꿀 수 밖에 없다. 만약 여분의 항공기라도 없는 외국 공항에서 버드스트라이크(Bird Strike)가 발생하면 승객이나 화물 관련해서 결정할 수 있는 방향은 딱 2가지..
첫째, 다음 운항 여정(구간)을 결항한다.
이 경우에는 해당편에 탑승키로 되어있던 승객들을 다른 항공편으로 수송하거나 아예 취소할 수 밖에 없다.
둘째, 정비한 후에 다시 운항한다.
새가 무서워 OTL
이렇게 여분의 항공편이 없는 외국에서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하면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다. 승객들은 영문도 모르고 불편을 감수해야만 하는 사태를 당할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 일본에서 위와 같은 경험을 한 적이 있는데 그 당시 일처리를 위해 정신없이 뛰어다녔던 걸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쿵쾅거릴 정도다. 다시는 겪고 싶지 않을 경험 ㅠ.ㅜ)
새는 "깃털달린 카미카제(神風)"
무작정 항공기를 향해 달려드는 모습 때문에 옛날 일본 제국주의가 일으킨 전쟁에서 죽음을 무릅쓰고 적(미국)의 군함을 향해 비행기를 몰고 돌진했던 "카미카제(神風) 특공대"가 연상된다. 그래서 이렇게 항공기에 부딛히는 새를 일컬어 "깃털달린 카미카제"라고 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국적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만의 현황을 볼 때도 매년 60-70건 내외의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한다. 그로 인한 피해액은 단순 산술적인 부품 교체비용이나 정비비도 적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발생하는 기회비용, 각종 대 고객 서비스 비용까지 감안한다면 가히 엄청난 규모가 된다.
년도별 발생 건수 | 부품교체 |
버드스트라이크(Bird Strike)는 가을/겨울 사이에 많이 발생해..
월별 발생 건수 (2003-2006년)
이는 계절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 기준으로 주로 봄/여름보다 가을/겨울에 더욱 많은 조류충돌이 발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조류들의 계절별 특성을 생각해 볼 때, 국내 서식하는 여름철새는 중대백로 (Egretta alba modesta), 쇠백로 (Egretta garzetta), 왜가리 (Ardea cinerea), 황로 등이며 체중은 약 300 g ~ 1200 g 정도이다. 겨울철새에는 쇠기러기 (Anser albifrons), 청둥오리 (Anas platyrhnchos),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cha) 등이 있으며 체중은 약 1300 g ~ 2700 g 이다.
즉, 겨울철새는 주로 군집생활을 하여 무리를 지어 떼로 이동하는 경향 때문에 운항 중인 항공기와의 충돌확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여름철새보다 체중이 더 무거운 관계로 항공기 충돌 시 훨씬 더 큰 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버드스트라이크는 주로 공항 주변에서 발생 (특히 뜨고 내릴 때)
버드 스트라이크는 주로 항공기가 이륙하는 과정, 즉 일정고도까지 올라가기 전 상태에서 주로 발생한다. 물론 반대의 경우인 착륙을 위해 일정고도에서 지상으로 내려오는 과정에서도 많이 발생한다.
아래는 Thomsonfly 라는 항공사 항공기의 실제 Bird Strike 장면이다.
간혹 스포츠에서 신기한 장면으로 야구공이나 테니스 공에 날아가는 새가 맞는 화면들을 종종 보곤하는데, 이것 역시 날아가는 항공기에 또 역시 날아가던 새와 부딛혀 발생한 장면이다. ^^
공항별로 새와 전쟁을..
논밭에서 새를 쫓기 위해 허수아비를 세우는 노력을 하듯,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위해 공항 주변에서는 이렇게 새를 공항 주변 밖으로 쫓아내기 위해 늘 신경을 곤두세우고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 충격음(소리)을 이용한 퇴치 : 호루라기, 꽹과리 등 구형 무기나 엽총, 폭음탄 . 경음기, 반사색종이 등 신형 무기를 사용
- 조류서식지가 되지 않도록 습지 및 늪지를 메우고 새들의 먹이가 되는 곤충을 없애기 위해 살충작업
- 자기파를 발생시켜 새들의 근접을 막는가 하면 위협용 `대포'를 발사해 혼을 빼놓는방법
김포공항에서는 공항 근처에 한달에 2~3번씩 송골매 4마리 정도만 풀기도 하고, 부산 김해공항의 경우 조류 퇴치조를 운영해 엽총으로 무장한 공군병사 6명이 하루종일 활주로를 지키고, 2~3분간격으로 흰색연기를 뿜으며 폭발음을 내는「프로판 가스 폭음기」와 8~40초 간격으로 새가 싫어하는 전자파를 발산하는「경보기」등 각종 장비가 동원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새들도 영리해져서 인지 아니면 무감각해지는 건지, 각종 방법을 동원해도 그때 뿐,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몰려 들고는 해서 관계자들이 애를 먹고 있다고 한다.
하늘을 나는 그 최첨단의 항공기도 기껏 작은 새 한마리로 인한 피해를 두려워해야 한다니 재미있다. 새가 항공기와 부딛히지 않는 기술이나 방법이 개발되지 않는 한 공항에서 새와의 전쟁은 끊임없이 계속될 것이다.
24 Comments
-
Draco 2007.06.21 10:42 저 비행기 깨끗하게 엔진 하나 날렸군요 -_-; 비쌀텐데...
그나저나 저렇게 이력했다가 바로 착륙하려면 연료를 상당히 버렸어야 할텐데..... -
마래바 2007.06.21 11:08 신고 그러게 말입니다.
엔진 하나가 얼마나 비싼데.. ㅠ.ㅜ
게다가 착륙 시의 무게는 이륙 시보다 많이 가벼워야 하는데 연료를 가득 싣고 있으면 그 연료도 버려야 하구..
새 한마리의 영향이 크죠? -
rince 2007.06.21 11:14 아, 그럼 저 비행기도 다른곳에서 연료를 다 버리고 돌아온거겠군요...
승객들은 또 얼마나 놀랬을까요... -
마래바 2007.06.21 11:51 신고 시간 상으로 봐서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만약 가득 실은 경우였다면 어디선가 Dumping 하고 돌아온 것일 겁니다.
제가 만약 타고 있었다면 저도 모르게 마지막 기도를 하고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어휴 생각만 해도 끔찍... -
쏭군 2007.06.21 11:29 와 정말 무시무시하네요... 저기 우측창가 승객... 거의 심장이 오그라들었을 것 같은데요 ㅠㅠ
-
마래바 2007.06.21 11:53 신고 보는 저도 가슴이 짜릿했습니다. ^^;;
실제 승객들은 어땠을까요? 그나저나 제트엔진 항공기가 엔진 하나로도 어느정도 안전하게 운항가능한 게 다행이라고 할까요..
당연히 그런 안전성이 담보되어야 하는 것이겠지만 말입니다.. -
인게이지 2007.06.21 15:59 엔진 하나 제대로 날렸군요 ㅡ.ㅡ;;;;
대비고 뭐고 통채로 부서질테니..
정비요원들 자기 항공 비행기 이륙할때마다 기도 하지 않을까요?
제발 새 좀!! -
마래바 2007.06.21 16:00 신고 맞아요 !!
저 엔진 하나에 얼마짜린데. ㅠ.ㅜ
아마 울고 싶을 겁니다.
새와의 전쟁은 언제 끝날지.. -
우미 2007.06.21 17:16 뉴스에서 항공사고중에 '새'에 의한 사고를 몇번 본적이 있는데 저 만큼 피해가 있는 줄 몰랐네요 덜덜;
새 하나가 항공기 하나를 위험헤 빠트릴 수 있군요.. -
마래바 2007.06.21 17:36 신고 그럼요.. ^^
자동차는 문제 생기면 중간에 세우면 되지만 비행기는 그게 안된다는 게..
그래서 애초부터 위험요소를 최소화시켜 만반의 준비를 바탕으로 운항하여야 합니다만, 저런 새와의 충돌은 어쩌면 아직까지는 불가항력이라고 해야 하는 지 모르겠네요. ^^
의견 감사합니다. -
완전초보 2007.06.22 10:51 신고 헐...진짜 무섭군요
새 한마리로 저런 상황을 만들다니;;; -
마래바 2007.06.22 11:58 신고 편리할 수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 같아요 ^^
댓글 감사합니다. ............ (_ _) -
일취 2007.06.22 12:47 버드스트라이크로 추정되는 일로 인해 이륙포기를 두번씩이나 겪어본지라 -_-;
그런데 사실 사고만 나지 않으면 저런 사태도 재밌는 것(?) 같아요. -
마래바 2007.06.22 12:56 신고 아니 !! 그런 엄청난 일을 두번씩이나 당하시다니..
운이 너무 좋으시다고 해야 하나.. 아니면 불운하시다고 해야 하나요 ㅋㅋ
운이 너무 좋으신 거죠?
그리고 불펌 관련해서 정보 정말 감사 드립니다. ^^ -
Hee 2007.06.22 23:44 오..엄청나군요;;
아직 비행기를 한 번도 안 타봐서 그런지..
이 포스팅을 보고 나니까 더 겁이 나네요; -
마래바 2007.06.23 01:10 신고 새와 부딛혀서 사고가 난 적은 제법 있지만 아직까지 인명사고로까지 발전한 적은 없습니다.
조류충돌의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개발, 운용되니까요 ^^ -
Zet 2007.06.25 18:43 저도 아직 안타봤는데 히님이랑 저랑은 공통점이 많네요ㅋㅋ
신혼여행은 비행기 탈 생각이에염~ㅋㅋ 잘봤어요 마래바님!
새떼를 마주치면 얼매나 긴장할지.. -
마래바 2007.06.25 18:49 신고 저두 회사에 입사하고 비행기 처음 타 봤습니다요..ㅋㅋ
암것두 모르고 시작한 직장인데 벌써 시간이 제법 많이 흘렀습니다. ^^
새떼 만나시더라도 걱정하지는 마세요.. :) -
장성은 2008.11.16 08:25 엔진 앞쪽에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덮개) 같은 것을 항공기에도 달면 되지 않을까요?
공기만 들어가고 조류정도 크기의 이물질은 못들어가게 하면요...
그 생각을 못했을리는 없을 거 같고, 무슨 다른 이유라도 있나요? -
마래바 2008.11.17 13:06 신고 새로 개발되는 항공기 엔진은 그런 것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도외시 할 수 없는 거겠죠? -
starsky 2008.11.17 19:14 아마도 효과가 없고 부작용만 있을듯 합니다.
프로텍터가 있다 해도 고속으로 부딛히면 칼날 역할을 하여 잘라져서 안으로 들어가겠지요, 그렇다고 넖게 설치하면 공기 흡입 효율이 안좋아서 성능이 영--
그리고 프로텍터가 고속 비행시 엔진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흐름에 교란을 주어서 엔진의 안정적인 성능 발휘에 안좋을 겁니다.
공기를 빨아들여 더 빠른 속도로 내뿜는 반작용에의하여 추진력을 얻으니, 빨아들여야하는 필요한 공기의 량은 일반의 상상보다는 훨씬 많을겁니다. -
훗 2009.01.13 13:54 결국 이렇게 자연이 살곳을 없애가는 인간들이죠
-
마래바 2009.01.15 09:00 신고 결국 조화로운 공존이 관건이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