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한』가족
무릎조차 펴기 힘든 좌석은 괴로워 본문
같은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데서 발생하는 피로감을 방지하고 혈액의 원활한 흐름 등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한다.
항공 여행 초기 시절엔 좌석의 편안함 등이 그리 중요한 것이 아니었지만 지금에 와선 다른 무엇보다도 중요한 선택의 기준이 되고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어느 좌석이 베스트 (명당) 인지 찾으려고 애쓴다. 그래야 조금이라도 더 편안하게 비행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2007/04/02 - [하고하고/항공상식] - 제일 좋은 항공기 좌석은 어디?
좌석의 크기나 편안함은 항공사, 클래스 선택의 주요기준
아리따운 승무원 ? 맛있는 음식 ? 보다 나은 서비스 수준 ?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좌석의 편안함이 항공사와 클래스를 선택함에 있어 주요 기준 중 하나다.
좁디 좁은 일반석에서 10여 시간을 좌우 승객사이에 끼어 옴싹달싹 못하고 여행해 본 분들이라면 좀 더 넓은 좌석, 좀 더 움직임이 편한 공간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게 느낄 것이다.
설사 추가요금을 지불하고서라도 말이다.
거기다 옆 사람의 체구가 크기라도 하면 그 답답함이란...

유럽이나 미국의 국내선이나 짧은 거리를 작은 항공기(저가항공사)로 처음 이동해 본 분들이라면 예상치 못했던 기내 서비스나 시설 등에 종종 놀란다. (문화적 차이인 지 모르겠으나..) 그리 상냥하다고 느껴지지 않는 승무원의 표정이나 말투, 그리고 좌석의 품질(청결) 수준은 '항공여행은 이 정도는 돼야지 !!' 라고 예상한 승객의 기대감을 여지없이 무시해 버린다. (서비스 기대감이 주 원인)
게다가 좌석 앞뒤 간격은 왜 그렇게 좁은 건지. 체구가 크지 않은 동양인인 나도 좌석에 앉으니 무릎이 앞좌석 등받이에 거의 닿을 지경이다. 옆을 둘러보니 체구가 크고 다리가 긴 서양인들은 무릎이 앞좌석에 거의 닿아 자세를 꽂꽂이 세우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다.
Seat Pitch 란 ?
항공기라는 한정된 공간에 가능한한 좌석을 많이 배치, 더 많은 승객을 태워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현상은 대형 메이저 항공사도 당연하겠지만 주로 저가항공사를 중심으로 더 많이 나타난다.
그럼 우선 여기서 말하는 항공기 좌석간 앞뒤 간격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자.
이 Seat Pitch 가 작으면 앉아 있을 때나 이동 시 불편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위기 상황 시에 탈출에 방해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간격은 유지해야 한다.
좌석 설치기준을 강제화하는 분위기
그동안 항공기 좌석의 배치는 서비스적 측면에서만 바라보았기 때문에 전적으로 항공사의 판단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이제 점차 외부의 압력에 의해 그 크기나 배열 등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항공기 앞뒤 좌석간의 간격은 단순한 안락성 차원을 넘어 비상 시 안전문제로까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상 착륙 등이 발생했을 때, 탈출을 제대로 할 수 없을 정도로 좌석간 간격이 좁다면 어떻게 될까?
우왕좌왕하는 혼란으로 인해 자칫 승객들의 생명까지도 위협할 수 있지 않을까?
(현재 유럽항공안전국 요구사항대로라면 비상 탈출이 90초 이내에 가능해야 한다.)
얼마 전 영국 상원(기술위원회, House of Lords Science and Technology Committe)에서는 일부 여객기 좌석간 간격이 너무 좁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그동안 여러 연구를 통해 Seat Pitch가 최소한 28인치 이상이 되도록 권고해 왔으나 항공사의 자율적 결정에만 의존했기 때문에 그 권고사항을 지키는 항공사가 많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이런 여객기의 Seat Pitch 를 유럽항공안전국(European Aviation Safety Authority (EASA) 을 통해 조만간 법제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이런 여객기의 Seat Pitch 를 유럽항공안전국(European Aviation Safety Authority (EASA) 을 통해 조만간 법제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Seat Pitch를 최소한 28인치 이상으로 확보해야.
주요 항공사 Seat Pitch <출처: skytrax.com>
"1인치, 2인치 !! 그까짓 차이, 별거 아니잖아 !"
혹 어떤 분은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시아나항공의 34인치와 노스웨스트항공의 31인치 좌석을 비교했을 때 3인치 차이라면 약 7.5센티미터 (1인치 = 2.54센티미터) 간격 차이가 나게 된다.
보통 10시간 이상 걸리는 한국 - 미국 구간을 여행한다고 치면 이 7.5센티미터 차이는 항공여행 피로도를 결정짓는 요소가 될 수 있다.
30인치 이상되는 Seat Pitch 도 불편한데, 하물며 26인치라니... 좁아도 너무 좁다는 생각이 든다.
Seat Pitch 를 좁히면 30석을 더 설치할 수 있어
저가항공사의 Seat Pitch가 작은 가장 큰 이유는 운항하는 구간이 짧기 때문이다. 그리 길지않은 구간이기 때문에 좌석이 다소 불편하더라도 어느정도 참고 견딜 수도 있다는 것. 단그렇지만 장거리 구간에서 Seat Pitch가 작을 경우 승객은 너무나 큰 불편을 감수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래서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항공의 경우도 장거리 노선을 운항하는 대형 기종(B747 등)보다 단거리 노선을 주로 운항하는 소형 기종(B737)이 일반적으로 1-2인치 정도 Seat Pitch를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Seat Pitch가 운항거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항공사의 서비스 정책과 보다 밀접한 관계가 있다.
B747-400 항공기의 일반석 공간에는 31인치 간격으로 약 33열을 설치할 수 있는데 반해, 34인치 간격으로 설치하면 약 30열 정도로 줄어든다. 3열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피치가 34인치 간격일 경우는 31인치일 때보다 좌석을 약 30석 정도 적게 설치할 수 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항공사 입장으로는 좌석이 곧 판매 상품이므로, 좌석 수를 줄이는 것은 상품을 적게 생산하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고민에 빠지게 된다.
Seat Pitch를 크게해서 보다 안락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급화 전략을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다소 불편하더라도 저렴한 요금 정책과 함께 운영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난, 비싼 돈 주고 비즈니스나 퍼스트 클래스 이용하는 사람들 이해할 수 없어'
'어짜피 똑같은 구간을 똑같은 시간을 들여 날아가는데 굳이 돈을 비싸게 들일 이유가 있나 ?'
비록 일반석보다 적게는 1.5배, 많게는 4배 가까이 비싼 상위 클래스일지라도, 금전적으로 여유가 있거나 비즈니스 상 컨디션을 유지해야 하는 사람들은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좌석을 필요로 하겠지만, 같은 일반석이라 할지라도 항공사에 따라 좌석의 편안함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런 점도 항공사 선택의 한가지 이유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아직까지는 우리같은 서민들에게야 항공 요금이 절대적인 선택 기준이 되고 있지만 말이다.
또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같은 항공사, 같은 항공기의 일반석 좌석이라고 하더라도 좌석에 따라 Seat Pitch 가 약간 다를 수 있다. 대한항공 홈페이지에도 나와있긴 하지만 B747-400의 경우 일반석 앞좌석은 Pitch가 33인치인 반면 뒤쪽 좌석은 34인치로 앞쪽보다 뒤쪽이 약간 더 넓다.
대개 승객들은 뒤쪽 좌석보다 앞쪽 좌석을 선호한다. 그렇지만 경험있는 여행객은 이런 일반적인 승객성향을 파악해 뒤쪽 좌석을 요구하곤 한다. 운 좋으면 좌석 몇개를 한사람이 독차지하고 갈 수도 있으니까.. 물론 뒤쪽에 단체 승객이 없다는 전제하에서 말이다. 단체 승객들이 있는 곳은 시끄럽기도 하고, 복잡하기도 하거든 ^^;;
대개 승객들은 뒤쪽 좌석보다 앞쪽 좌석을 선호한다. 그렇지만 경험있는 여행객은 이런 일반적인 승객성향을 파악해 뒤쪽 좌석을 요구하곤 한다. 운 좋으면 좌석 몇개를 한사람이 독차지하고 갈 수도 있으니까.. 물론 뒤쪽에 단체 승객이 없다는 전제하에서 말이다. 단체 승객들이 있는 곳은 시끄럽기도 하고, 복잡하기도 하거든 ^^;;
첨부 : 전세계 항공사 좌석 간 간격 (Seat Pitch) 현황
공유하기 링크
24 Comments
-
너른호수 2007.12.26 17:27 어라... 2002년경에 인천-JFK 구간을 아시아나 직항 이코노미 클래스로 갔을 때, 좌석간격이 좁아서 혼났는데 시트 피치 테이블을 보면 아시아나 이코노미 클래스의 시트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은 수준이었군요. +_+
역시 이코노미 타고 13시간 30분 직항으로 가니까... 다음에 갈 때는 돈 더 내더라도 비즈니스 이상으로 타야겠다는 굳은 결심을 하게 되더군요. -_-; -
마래바 2007.12.26 23:39 신고 돈만 있으면야 비즈니스 이상 클래스 타고 싶죠 ^^;;
에그.. 돈이 뭔지... :P -
rince 2007.12.26 17:30 최장 5시간 정도 밖에 안타봐서 그런가 전 버틸만하더라구요 ^^;
10시간 넘어가면??? 오후.. 상상만해도 끔찍하네요.. -
마래바 2007.12.26 23:44 신고 그래도 요즘은 좀 낫죠..
개인용 비디오도 있고 말입니다.
예전엔 ... 어휴.. ~~ -
Reidin 2007.12.26 17:48 자리 좁다고 알려진 KTX열차 일반석은 비행기 이코노미석에 비하면 양반이었군요. (34인치를 cm로 환산한 결과 86.36cm가 나오는데 KTX는 93cm이니까요.)
-
마래바 2007.12.26 23:45 신고 그러게 말입니다. 사실 너무 비좁은 느낌이 드는 건 저만 그랬던 게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
isss 2007.12.26 18:21 정말 옆좌석에 거구가 앉으면...너무 불편하더군요...--;
몸이 큰 서양인들은...2배 요금 받는 다는 말도 무리가 아닐 것 같습니다. -
마래바 2007.12.26 23:54 신고 요금 2배 받는다고 했다가 소송까지 걸린 사례가 있긴 합니다만..
-
바로 2007.12.26 18:32 돈이 없는 학생은 어차피 언제나 이코노미입니다. 하지만 이코노미에서 퍼스트보다 더 넓은 자리를 향유할 수 있는 곳이 한군데 있죠^^ 아시는 분은 아시는 출입구 바로 옆에 있는 좌석.
물론 해당 국가 언어를 할 수 있어야 하고, 위급상황에서는 승무원을 도와야할 정도로 신체건장한 남자여야된다는 조건이 붙지만...앉을 수만 있다면야 최고의 자리이죠.
착륙해서 후딱 나갈 수 있고, 기내식도 맨 처음으로 오고, 무엇보다...아리따운 스튜디어스 누님과 건전한 이야기도 주고 받을 수도 있고 말이죠. 하하하^^::: -
마래바 2007.12.26 23:58 신고 비상구 좌석 좋죠...
말씀대로 일반석 중에선 제일 홀가분하고 자유로운 자리입니다. ^^ 심심하면 앞의 어여뿐 처자와 이바구도... ㅋㅋ -
열심히 2007.12.26 19:25 싱가포르항공을 타고 6시간 정도를 가는데 좌석이 넘 좁아서 힘들었어요. 저는 체구가 작은 편이었는데두요. 비슷한 거리를 타이항공으로 가니 훨씬 편하더라구요. 위에 표를 보니 2인치 차이가 나는데, 2인치가 큰 차인가봐요 ^^
10시간 이상 비행은 정말 좌석간격도 살펴보고 항공권을 선택해야겠습니다. -
마래바 2007.12.27 00:00 신고 작은 공간에서의 2인치, 5센티미터는 그 차이가 상당히 큰 것 같습니다. ^^
-
꼬이 2007.12.26 21:15 신고 키가 큰 남편이 했던 말이 생각나는군요..
해외 출장을 갈때면 회사 경비로 가는거라 항상 일반석을 이용하는데..유럽쪽으로라도 갈라치면 다리를 뻗을 수가 없어 창가쪽이 아닌 통로쪽 자리로 달라고 해서 아무도 안다닐때면 통로 밖으로 다리를 뻗는다고요..
시간을 맞추어 가야 하는데다가 혼자 아니다 보니 따로 항공사를 선택하는게 아니어서 많이 힘들었겠구나..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말이에요.. -
마래바 2007.12.27 00:01 신고 어이쿠.. 통로 쪽을 다리를 내 놓으실 만큼 키가 크시면 상당히 고생하면서 비행기 타셨겠네요 ^^;;
비즈니스, 퍼스트 타셔야죠 :) -
야옹*^^* 2007.12.27 13:43 오.. 뒷쪽이 좀더 편하게 다닐수있는 가능성이 있군요. ^^
늘 약간만 여유있으면 좋으련만..하는 마음이 있어요. -
마래바 2007.12.28 09:12 신고 대부분의 분들이 앞쪽 좌석을 선호하십니다.^^
장점이 몇가지 있긴 하지만, 이런 앞좌석 선호 분위기 때문에 뒤쪽에 종종 비는 자리들이 많이 보입니다.
그럴땐 뒷자리가 훨씬 편하죠... -
Zet 2007.12.27 16:32 그 답답함이란 옆의 아이콘이 너무 귀여워요 ㅋㅋ
-
마래바 2007.12.28 09:13 신고 때론 말보다 아이콘 하나가 의미를 더 잘 전달해 주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제대로 골라 쓰는 건지는 모르겠지만요.. ^^ -
마래바 2007.12.29 01:13 신고 감사합니다. Zet님도 축하 드려요.. ^^
-
mepay 2007.12.29 02:00 포스팅이 참 좋습니다. 가독성도 좋고..어려운 용어도 쉽게 풀어주시는것도 좋고..
특히, 글의 띄움이 참 좋습니다.. -
마래바 2007.12.29 02:43 신고 감사합니다. 늘 좋은 정보 잘 보고 있습니다.
전 약간 글이 긴 편이라 자칫 지루해질까봐 걱정입니다. -
쏭군 2008.01.02 06:34 아직 10시간 이상 장거리비행을 해 본적은 없지만,
만약 장거리비행을 할 일이 생긴다면..
돈이 좀 들더라도~
무조건 프레스티지 이상은 타야할 것 같아요
이코노미 10시간 이상 타신분들 말씀들어보면
여간 힘든게 아니라고^^;;; -
마래바 2008.01.02 08:11 신고 언제나 돈이 문제죠.. ^^;;
지금보다 좌석이 조금만 더 넓어도 훨씬 나을텐데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