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한』가족
러시아 대통령 전용기 내부 인테리어 본문
대통령(국가 원수)이 가지는 권위와 위엄을 증명이라도 하듯 대부분의 국가는 대통령 전용기를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대통령 전용기가 있을까?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대통령 전용기는 공군이 보유하고 있는 공군 1호기(B737 기종)로 현재 운영되는 민간 항공기 수준에서는 소형 기종에 속한다. 이러다 보니 장거리 국가를 방문하거나 비행할 때 이 B737 기종을 사용할 수 없다.
전용기에서 내리는 대통령
물론 일본 등의 근거리를 이동할 때는 공군 1호기를 사용하지만 말이다. 이렇게 사용되는 대통령 전용기를 우리나라에선 흔히 "코드원 (Code-1)"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필요한 경우 항공사에서 여객기를 빌려 사용한다고 하지만, 근본적으로 해당 비행기는 이익 사업을 목적으로 한 항공기여서 항공기 안은 주로 승객들이 이용하는 좌석으로 빽빽히 들어차 있기 마련이다.
대통령은 비행 도중에도 도착지 국가와의 회담, 협상 등을 대비하기도 하고, 지상에서 하던 업무를 항공기 안에서도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민간 항공기 원래 상태 그대로 이용할 수는 없다.
그래서 대통령 전용기로 사용되는 항공기는 사용하기 전에 내부 인테리어를 새롭게 바꾸어야 한다.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좌석을 과감히 뜯어내고, 회의실, 휴게실, 주방, 침실, 개인 휴식공간 등을 꾸민다. 대개 한달 정도 작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내부구조가 바뀐 전용기는 대통령과 그 수행원을 태우고 세계 방방곡곡을 누비며 날아 다니는 것이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경제력이 세계 10위권으로 성장한만큼 더 이상 민간항공사 항공기를 빌려 이용하지 말고, 현재 소형기종인 대통령 전용기를 대형기종으로 바꾸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천문학적인 항공기재 비용은 물론, 유지보수 등 관리 비용 또한 만만치 않기 때문에 아직 구체적인 진행사항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 대한항공을 이용하는 경우, 로고나 명칭 자체가 한국을 표시하는 것이어서 그리 어색하지 않았지만, 아시아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언듯 항공기만 보고서는 어느나라 대통령 전용기인지 알기 쉽지 않다고 하는데서 본래 의미의 대통령 전용기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
그럼 우리나라 말고 다른 나라의 경우는 어떨까?
전용기가 없는 나라들이 많지만, 주요 강대국을 중심으로 대통령 혹은 국가원수용 전용 항공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상당수다.
미국은 대통령 대형 전용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러시아도 마찬가지다. 이런 나라 대통령 전용기는 아예 처음부터 해당 고유한 업무만 할 수 있도록 각종 내부 인테리어, 첨단 통신장비, 방어장비 등을 갖추고 있어 언제든지 지상에서와 같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미국은 잘 아다시피 대통령 전용기가 보잉사의 B747 기종으로 "에어포스원(Air Force One)"이라고 불리며, 러시아 대통령 전용기는 기종이 일루신사의 IL-96-300 기종이다.
일반적으로 대통령 전용기 내부는 일급기밀 사항으로 외부에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러시아의 대통령 전용기의 내부 인테리어가 공개된 바 있다. 공개된 사진을 보니 수면까지 취할 수 있는 침실까지 구비되어 있어 그야말로 날아 다니는 집무실 겸 휴게실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아래 보이는 항공기가 러시아 대통령 전용기(IL-96-300 기종)다.
러시아 대통령 전용기 (IL-96-300 기종)
< 일루신 사의 IL-96-300 기종 >
< 대통령 침실 > | . |
. | < 욕실 > | . |
< 샤워룸 >
. | < 주방 > | . |
<주방 >
. | < 화려한 문양 > | . |
< 사진 출처 : http://www.kommersant.com/p738321/Il_President_Jet_Interior >
이 인테리어는 영국의 Diamonite Aircraft Furnishings 社가 작업했으며 약 1,700만 달러가 소요되었다고 하니 엄청남 금액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인테리어는 공개되었지만, 그 밖의 기술 장비나 시설은 일급 비밀이기 때문에 공개되지 않고 있다. 당연한 일이겠지만 말이다.
* 참고로 아래는 제주 정석비행장에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대통령 전용기였던 콘스틸레이션기
< 사진출처 : skynews >
공유하기 링크
18 Comments
-
하우씨 2008.01.31 16:20 음.. 역시 한정된 공간이라는 한계는 어쩔 수 없는 모양입니다.
답답해뵈는 게 말이죠.
그래도.. 좋기는 좋네요. 부러버요~ ^^ -
마래바 2008.02.01 21:34 신고 제한된 공간에서는 어쩔 수 없겠죠? ^^
-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01.31 19:36 비행기가 아니라 오성 호텔처럼 보이는군요..
1700만달라면 도데체 얼마냐..이거...-_-a -
마래바 2008.02.01 21:34 신고 네. 그냥 사진만 봐선 호텔로 착각할 수 있겠습니다 ^^
-
일취 2008.02.01 10:54 참여정부에서 어차피 욕먹는 김에 대통령전용기 도입이나 성취해주고 갔으면 좋겠다는 간절한 바램이 있었지만 그것도 물 건너간 듯 싶네요.
차기정부에선 787이나 350의 안정성이 슬슬 입증되기 시작하는 차차기정부를 염두에 두고 도입계획을 세워줬으면 좋겠습니다. -
마래바 2008.02.01 21:35 신고 이제 우리나라도 슬슬 대통령 전용기 하나쯤은 있어야 되는 거 아닌 지 싶습니다. ^^
-
sam 2008.02.01 17:58 일류신설계국..... 과거 2차대전때 전투기 만들던 회사네
저 기종도 결함으로 여러분 추락하던기종이죠
러시아는 예로부터 항공기 제작기술도 미국에비해 뒤떨어져있어서
추락하는사례가 잦았고
얼마전만해도 캄보디아에서 안토노프-24 기종이 추락을했지요
러시아는 항공기제작기술이 세계적으로 뒤쳐진나라 중국보다 못하죠
중국은 전투기를넘어서서 이제는 여객기도 만들죠 -
마래바 2008.02.01 21:41 신고 자국의 대통령이 타는 비행기니 안정성은 담보되겠죠? ^^
아직까지 섬세한 민간 분야까지는 러시아의 기술력이 경쟁력이 떨어지는 모양입니다만.. -
ㅇㅇ 2008.02.01 17:58 노무현 대통령이 전용기 도입의사 밝혔을때,
국개들은 거품물고 난리 났었죠.
이렇게 국개의 비중이 높은 나라도 드물겁니다.. 참..
엇그제 세계일보 여론조사에선 쥐박이가 잘한다는 의견이 70 넘게 나왔던데..
한국은 이제 망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내전이라도 거쳐서 국개들 청소하지 않는 한, 나라 망하는건 막을 수 없을듯. -
마래바 2008.02.01 21:42 신고 국개가 뭐죠?
-
image 2008.02.02 01:03 이제 우리나라도 대통령 전용기 정도는 가져야 할 국력이라고 생각하는데...
노무현대통령이 자기가 쓰지도 못할 대통령 전용기 도입한다고 했다가 엄청 욕먹었던 것이 생각나는군요.
이제 한나라당 쪽에서 그때 반대하지 말껄 하고 아쉬워하지 않을지... ^^ -
마래바 2008.02.02 05:57 신고 그럴지도 모르겠네요 ^^
-
영웅시대 2008.02.02 23:24 우우~ 사진만 보면 호텔인줄 알겠어요^^ 잘보고갑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
마래바 2008.02.04 01:15 신고 감사합니다.^^
영웅시대님도 좋은 주말 되셨으리라 믿습니다 ... -
구름마을 2008.06.13 16:11 기능성보다는 화려함에 치우친 인테리어인 듯합니다. 권위주의 국가의 한계인가...
우리나라는 대통령 전용기라기보다는 일본처럼 행정부의 장거리용 항공기로서 긴급 병력파견이나 구조대/구호물자 파견, 자국민 및 동맹국민 소개용 등으로 도입한다면 반대를 무마할 수 있을 듯합니다. 어차피 2대 정도 도입해야 제대로 운용할 수 있을테니까요. -
마래바 2008.06.13 17:41 신고 아무래도 화려함에 치울칠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도입을 고려할 시기인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 -
선인장^^ 2009.06.17 16:34 그런데, 대통령 전용 비행기가 꼭 있어야 하냐는 생각이 갑자기 문득 드는군요.
대통령이 타기 위해 일반항공기를 개조하는데 한 번에 15억 정도 든다는 기사 본 것 같은데,
그냥 대통령이 비행기안에선 편안히 푹 자면... 개조 안해도 되는 것 아닐까요? -
마래바 2009.06.17 17:18 신고 단순히 날아가기 위한 것 만이 아니고 회의나, 기타 여러 활동들을 위해 기내 개조는 필요할 겁니다.
다만 전용기를 가지는 것이 좋으냐, 지금처럼 빌려 사용하는 것이 나으냐는 비용적 측면과 국가적 위상(?)도 고려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