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한』가족
비행기, 차고에 보관한다. 본문
현재의 항공교통은 대부분 항공사를 중심으로 좌석을 공급하여 지역과 지역을 이동하는 공중교통의 개념이 일반적이지만, 예전 기차나 자동차가 그랬던 것처럼 항공교통도 개인 교통수단의 의미가 더욱 커질 것이다.
여러 항공기 제작업체에서는 미래의 이런 수요를 대비해 한창 개인용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는데, 마침 얼마 전 ICON 이라는 항공기 제작업체에서 재미있는 미래의 개인용 비행기를 소개했다.
비행기의 미래
6 월 12일, ICON 이라는 항공기 제작사는 날개를 접을 수 있는, 옆에서 보면 마치 람보르기니 자동차의 날개 문을 연상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항공기 디자인을 소개하며 조만간 수상스키나, 모터싸이클이 그랬던 것처럼 하늘을 나는 것도 여가의 한 부분으로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자신들이 소개하는 A5 라는 항공기는 이런 미래의 여가 활동은 물론이거니와 교통 수단으로서 역할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 소형 비행기는 자동차 두개 정도를 연결해 놓은 것만큼의 크기(길이)가 작다다. 뿐만 아니라 날개는 접을 수 있는 형태로 공간을 별도로 차지하지 않는다.
이 A5 항공기는 2010년부터 실제 판매에 들어가는 것이 이 회사의 목표라고 한다. 가격은 약 14만 달러, 우리 돈으로 1억 4천만원이면 비행기 한대를 구입할 수 있다는 얘기다. 요즘 어지간히 비싼 외제 승용차의 경우는 이런 정도 가격의 것도 있다고 하니 꽤나 매력적인 가격임에는 틀림없다.
20시간만 투자하면 조종 면허 취득
다만 항공기라는 교통 수단은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조종 면허가 필요하지만, 조종 면허를 취득하기가 그리 쉬운 것은 아니다. 물론 미국은 다른 나라와는 달리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자가용 비행면허를 가지고 있고 또 그 수가 증가하고 있긴 하지만, 자동차 운전면허만큼 쉽지는 않기 때문에 이 A5와 같은 비행기를 조종하려해도 기존의 자가용 조종면허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 A5 비행기에 희망의 빛이 보인 것은 2004년 FAA (미연방항공국)가 비행기 조종면허와 관련하여 경량 스포츠 항공기 카테고리(the Light Sport Aircraft category)를 신설한 것이었다. 이 경량 스포츠 항공기 조종 면허는 단지 20시간의 훈련과 이에 필요한 비용 3천에서 4천달러 정도만 투자하면 어렵지 않게 딸 수 있다고 한다. 아마도 지금까지의 조종 면허 중에 가장 취득하기 쉬운 면허가 아닐까?
이렇게 됨으로써 A5 등의 초경량 비행기를 위한 조종면허 취득이 쉬워지게 됐다. ICON 社는 매년 이 항공기 시장이 20억 달러 규모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A5 의 이색적인 점은 무엇일까?
자동차로 끌고 다닐 수도 있어..
조종석은 단순하게
복고풍 게이지
수상 & 지상 겸용 항공기
내 비행기는 내 차고에..
비행기를 집으로 끌고와, 물청소해서 보관한다? ㅋㅋ
조종면허, 쉽게 딸 수 있어..
연료는 얼마나 들어?
그리고 한번에 비행할 수 있는 거리는 약 3백마일 (약 400킬로미터) 정도다.
햐~~ 우리나라에도 이런 비행기를 조종할 수 있는 면허를 신설한다면 제법 판매 시장이 있지 않을까 싶다. 나도 항공업계에 종사하고 있지만, 조종사는 아니어서 하늘을 날고 비행한다는 것이 그저 남 얘기로만 여겼는데, 이런 비행기가 현실화된다면 충분히 도전해 볼만하지 않을까?
그렇지만 늘 그렇듯, 돈이 문제다. ㅋㅋ

덧) A5 항공기 발표회 동영상
5 Comments
-
daybreaker 2008.06.15 03:05 노르웨이나 스웨덴 정도라면 돈 좀 벌어서 저런 거 몰아볼 만 하겠습니다만 아무래도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 지역 사람들한테는 힘들 것 같군요. 보관은 차고 크기에서 가능하다 해도 이륙·착륙할 수 있는 활주로가 있어야 할 테니까요.
-
마래바 2008.06.15 21:49 신고 그렇긴 합니다.
어짜피 현재 조건이 갖춰지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할 것 같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는 의미가 있는 거겠죠? ^^ -
휴... 2008.06.15 04:29 글 내용과 직접적인 상관이 없는 지적을 하게되서 미안합니다.
곳곳에 어색하고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표현들이 너무 많이 있네요. 우리 말 표현의 정확성이 필수적인 글은 아니지만 신경을 써 주셨으면 합니다. -
마래바 2008.06.15 21:51 신고 네, 명심하겠습니다.
말이라는 것이 글로 표현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참 많습니다.
어짜피 전문 글쓰기가 아닌 이상 완벽을 기하긴 힘들겠습니다만 노력하겠습니다. 조금 부족하더라도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rince 2008.06.16 14:02 그렇지만 늘 그렇듯, 돈이 문제다. ㅋㅋ
저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