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족
중국産 에어버스 뜬다 - 비록 조립생산 단계지만.. 본문
익히 널리 알려진 것처럼 전 세계를 대표하는 항공기 제작사라고 하면 미국의 보잉(Boeing)과 프랑스, 독일, 영국, 스페인 합작사인 에어버스(Airbus)를 들 수 있다.
에어버스의 대표 제작공장은 프랑스의 툴루즈와 함부르크(독일), 세빌리에(스페인)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던 에어버스가 작년 2008년 9월, 유럽이 아닌 타 지역에 에어버스 항공기 제작공장을 세우고, 비 유럽산 에어버스 항공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에어버스 선택은 중국, 텐진(天津) |
에어버스가 선택한 장소는 다름아닌 이미 전 세계 생산품의 제조공장으로 각광받고 있는 중국이었다. 중국 텐진(天津)에 에어버스의 4번쩨 생산공장이 들어선 것이었다.
이제 그 결과물이 드디어 이번 달(5월)에 시험비행에 들어간다고 한다. 그동안 생산해 온 에어버스 A320 1호기가 탄생하는 것이다. 이 시험비행을 마친 중국산 에어버스는 사천항공에 인도될 예정이다.
중국 동방항공에 인도될 A320 항공기 조립 현장
사천항공, 선전항공, 해남(하이난)항공, 동방항공은 올해 안에 중국에서 생산된 에어버스 항공기 총 11대를 운영하게 될 항공사들이다.
그럼 에어버스는 왜 중국에 에어버스 생산 공장을 지었을까?
다분히 에어버스의 전략적 마케팅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에서 생산한 항공기를 중국 항공사들에게 훨씬 수월하게 판매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이해가 뒷받침되었던 것....
중국 경제가 급성장하며, 항공 여행객이 폭발적으로 늘어날 전망이고, 현재 중국 항공사들도 대규모의 구조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인 것이다. 기존에 운영하던 노후 항공기를 대폭 신형 항공기로 교체할 시점이 되는 바, 이런 기회를 그냥 앉아서 보잉에게 넘길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러나 진정한 생산공장이 아닌, 단순 조립... |
다만 다소 성급했던 모양새는 그대로 드러난다.
중국에서 조립 중인 A320
그 예로 이번 달에 에어버스 항공기를 처음 생산한 텐진 공장은 사실 진정한 의미에서의 생산공장이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에어버스 항공기를 중국 텐진에서 생산한다고는 하지만, 실상은 부품은 전부 유럽에서 들여다가 조립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즉 텐진 공장은 조립 공장이라는 말이다.
이런 점을 의식했는 지 에어버스는 2011년까지는 중국에서 본격적으로 생산하는 부품 비율과 완제품을 더욱 늘려갈 것이라는 언급을 잊지 않았다. 시설도 대폭 확장해 한달에 4대 정도 생산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한다. 2016년까지는 총 286대의 A320 항공기를 조립할 것이라고....
바야흐로 전 세계, 민간 제트 항공기 제작 전쟁에 돌입 |
이와는 별개로 중국은 자체적으로 민간 제트 항공기 개발이 한창 진행 중이다. 개발 중인 2016년 경에는 그 결과물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아마 이런 점도 에어버스가 중국 텐진에 생산공장을 세우게 한 요인 중의 하나이지 않을까 싶다.
한편 러시아가 중형 규모의 민간 제트 항공기 개발을 마치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판매에 들어갈 예정이며, 일본 또한 미쯔비시 중공업을 중심으로 2012년 완성을 목표로 비즈니스 제트 규모의 중소형 제트 항공기 개발이 한창 진행 중이다. 미국, EU, 캐나다, 브라질에 이어 러시아, 중국, 일본도 중형기급 상용 제트 항공기를 생산국가로 이름을 올리게 될 전망이다.
앞으로 약 10년 후인 2020년 경, 현재 보잉과 에어버스가 누리고 있는 상용 항공기 제작사로서의 독점적 지위를 그대로 유지할 지, 아니면 후발 항공기 제작사들의 분발로 지각 변형이 일어날지 그 결과에 궁금증이 더해지는 대목이다. 다만 그 시점에 우리나라의 민간 항공기 제작능력이 어디까지 가 있을 지, 기대보다 섣부른 아쉬움이 앞서는 건 특단의 노력이 없는 한, 지금의 수준을 단기간에 끌어올리기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
구차니 2009.05.06 15:33 made in china가 하나 또 늘겠군요 ^^;
-
마래바 2009.05.07 04:09 신고 이제 마데차이나 아닌 제품이 없을 정도가 되는 것 같아요...
-
인게이지 2009.05.06 16:27 후발 항공기 제작사....누가 총대 매고 사서 써줘야...
항공기는 신형이라고 무조건 잘팔리는 물건이 아니니까요... -
마래바 2009.05.07 04:12 신고 사실 그래서 이 항공기 제작 사업에 뛰어들기 어려운 거죠.
시장성이 얼마나 있을 지, 누가 사 줄지 걱정해야 하니 말입니다.
중국은 기본적으로 내수, 항공 내수조차 넘치고도 남으니 중국 같은 경우는 민간 항공기 제조에 뛰어드는 데 망설임이 없었을 것 같습니다. -
변성탱이 2009.05.06 22:54 에어버스가 유럽합작사에요? 근데 항공기는 중국에서..ㅎㅎ 상품하나에 전세계가 ㅎㅎ
-
마래바 2009.05.07 04:13 신고 네, 에어버스는 미국 항공기 제작사에 대항하기 위해 유럽 몇개나라가 합작해 세운 제작사죠.
그게 성공해서 지금은 보잉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가 되었구요. -
단군 2009.05.07 00:53 저게, 짝퉁은 아니겠지요?...짝퉁이면, 헐...ㄷㄷㄷ입니다...
-
마래바 2009.05.07 04:13 신고 헉... 비행기마저 짝퉁? 큰일 납니다 ㅎㅎ
-
도꾸리 2009.05.07 08:08 이제 비행기까정 생산하는군요~
무섭습니다~ 중국~~ -
마래바 2009.05.12 22:47 신고 언제든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나라죠..
-
언제까지 메디인 차이나소리 ~ 2009.05.07 10:38 중국의 중형 대형 항공기 연구는 시작 한지 오래전일이다... 엔진 기술의 제한에 발목이 잡힌거지..매일 중국제 어쩌구 저쩌구 해두 지금 대한항공 아시아나 에서 사용중인 보잉기들의 기체나 날개 많은 부품은 중국에서 생산 제작된다...중국은 엔진 기술 제외한 많은 부문에서 성과를 거뒀다....우주유영까지 할수 잇는나라에 아직두 짝퉁으로만 생각하다니 안타깝다... 중국은 하루다 다르게 발전하구 있는데... 한국사람들의 생각은 아직두 70년대에 머물러 있으니~ 누구의 잘못인지~한국언론들이 x잡구 반성해야될것 같다
-
마래바 2009.05.12 22:49 신고 아쉬움 반, 부러움 반 심정이겠죠.
-
미쓰비시? 2009.05.07 16:05 일본은 뭐 벌써 혼다에서 소형 비지니스 제트기를 만들어서 몇년전부터 시판중이잖아요?
미국에서 평이 아주 좋던데
미쓰비시에서는 좀 더 중대형모델을 만드는것같다만.. -
마래바 2009.05.12 22:49 신고 지금 엄청난 투자를 하는 것 같기는 합니다.
조만간 결과물이 나오겠죠. -
다스베이더 2009.05.14 23:17 한국에도 에어버스 지사와 공장이 생긴다는 말을 어디선가 들은거 같은데요... 흠... 항공우주공학 전공자로서 기대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ㅎㅎ
-
마래바 2009.05.15 06:42 신고 캬~ 그런가요.. ? 전 아직 소식을 듣지 못했네요.. 한번 확인해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