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족
(주의) 한해 4천만개 이상 수하물 사고 급증 본문
항공업계가 별로 밝히고 싶지 않은 실적, 통계가 발표됐다. 2007년 수하물 분실 통계가 그것이다.
2007년 한해동안 잘못 다뤄진 수하물, 즉 지연되거나, 파손 혹은 분실된 여행 가방이 총 4천 2백만개이며, 그 중 찾지 못해 최종 분실된 수하물 양도 1백 2십만개에 이른다고 AUC(Air Transport Users Council)는 밝혔다.
이는 2006년 3천만개의 수하물 사고가 발생했다는 예전 블로그 글과 비교해 볼 때 엄청난 숫자라 할 수 있다.
[항공상식] 항공 수하물 분실 확률은 만분의 일 (2008/04/14)
AUC는 이런 상태가 지속된다면, 앞으로 10년 후에는 현재와 비교하여 2배 수준에 이르는 약 7천만개의 수하물 사고가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2006년은 그 전해 대비 13.3퍼센트 증가, 2007년은 2006년에 비해 무려 25.3퍼센트나 증가한 수치다.
수하물 사고는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2008년 초 런던 히드로 공항의 제 5터미널을 개장했지만, 설익은 수하물 시스템 때문에 수만개의 짐들이 제때 연결되지 못하고 분실되거나 지연되었던 사례는 어느 한 공항 시설 미비가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 지 알게 해 준다.
[항공소식] 어설픈 공항 터미널 개장으로 5백억원 날려 (2008/04/05)
또한 항공 여행 형태가 바뀌었다.
한 공항에서 한 공항으로 단순하게 이동하는 형태에서 연결편이 다수 발생하는 복잡한 여행 형태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항공편 연결 과정에서 짐이 실리지 않는다거나 급하게 싣다보면 파손되기도 하는 사례, 확률이 늘어날 수 밖에 없다.
게다가 항공 여행의 저변이 확대되면서 요즘은 비행기 한번 안타본 사람 없을 정도로 일반화 되고 있다. 하지만 항공 여행 관련해서 주의해야 할 점 등 그 특성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여행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어 수하물 사고 가능성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한술 더떠 최근에는 이 항공 수하물을 노리는 도둑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는 것도 원인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대부분 분야는 항공업계가 개선하고 노력해야 할 부분이지만 적어도 승객 입장에서도 자신의 수하물 사고를 대비해야 할 필요성은 있어 보인다.
< 수하물 사고 관련 유용한 정보 >
[여행정보] 가방은 멀쩡한데, 내용품만 도난 당했다? 결정적 장면[항공상식] 항공여행 트러블 줄이는 몇가지 방법
[항공상식] 수하물(짐)이 파손되는 이유는 집어 던지기 때문
[항공상식] 기내 휴대가방 크기는 좌석 사이즈 때문에 제한된다?
[항공상식] 수하물 분실했을 때, 꼭 알아야 할 몇가지
[항공상식] 항공 수하물, 안전운송 팁 몇가지
[항공상식] 비슷한 항공 수하물 조심 !! (분실 예방법)
[항공상식] 항공기 짐(수하물)은 어떻게 마지막 목적지까지 연결될까?
[항공상식] 짐(수하물)을 잃어버리지 않는 방법
만의 하나라도 발생할 수 있는 수하물 사고를 적어도 '내게는' 해당사항 없는 일로 만드는 일에 승객 본인의 노력도 필요한 세상이 되었다.^^
-
도꾸리 2009.03.18 09:49 언급 안해주셨더라면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 모르고 있었을 것 같아요~~
중요중요~ 수화물 사고~~
감사합니다~ -
마래바 2009.03.20 15:14 신고 ㅎㅎ 감사 합니다.
-
빛이드는창 2009.03.18 11:27 각별히 신경을 써야겠네요..
-
마래바 2009.03.20 15:14 신고 전 왠만하면 가지고 탄다는 ... 짐 줄여서.
-
JUYONG PAPA 2009.03.18 14:01 그렇다고 무거운 짐을 안맡기고 기내에 반입할수 없는 노릇이고...쯥쯥...
정말 이런 기사 볼때마다 기분은 별로네요. -
마래바 2009.03.20 15:14 신고 전체 확률은 그리 높지 않은데, 표면상 수치가 워낙 엄청나서..
-
변성탱이 2009.03.18 20:59 4천개가 아니라 4천만개요?ㄷㄷ 정말 개인짐은 잘 챙겨야겠어요. 수화물 붙이고 난 이후는 어떻게 할 수 없겠지만요..
-
마래바 2009.03.20 15:15 신고 그래도 미리 준비하면 그 가능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
어설프군YB 2009.03.18 22:15 이거 쉽게 지나칠 수도 있을 내용이지만.. 여행을 앞둔 사람에겐 매우 중요한 문제인 듯
하네요. 저도 이제 결혼준비중인데.. 신혼여행 준비하면서 꼭 유의해야 겠어요. ㅎ
참.. 저 말씀 안드렸죠.. ㅠㅠ 결혼하게 되었어요. -
마래바 2009.03.20 15:15 신고 와~~~아
축하드려요...
아름다운 사랑, 알콩 달콩 나누시길.. 여행도 재밌게.^^ -
어설프군YB 2009.03.25 10:15 애공 축하글 주셨는데..
답글이 늦었어요. 죄송해요.
요즘 결혼준비다 머다 좀 바빠서 블질할 짬이 안나요. ㅠ.ㅠ
감사드리구요. 마래바님 말씀 처럼 열심히 알콩달콩
살겠습니다. ㅎ -
NYerYS 2009.03.19 05:03 미국에 살다보니 한국의 시스템이 그리워지네요
지난 일요일에 이사를 가서
지난주 월요일에 인터넷 서비스 옮겨달라고 신청했는데
그때 잡은 약속시간이 목요일 오후 2~6시.
학교 끝나자마자 전화와서 (2:15) 집에갔더니 기다려도 오지않는 그기사...
콜센터에 전화해 보니 2:05분에 왔다갔다며 예약 캔슬...
드디어, 오늘, 그 다음주 수요일에 인터넷을 달았어요 ㅜㅜ 감격 ㅠㅠ
오랫만에 마래바 님의 블로그에 들르니 감동이 두배네요 ㅡㅜ
그리고 YB님 축하드려요 ^^ -
마래바 2009.03.21 00:43 신고 한국의 빨리빨리가 좋을 때도 많습니다. ㅋㅋ
-
젤가디스 2009.03.19 05:48 다음번에 비행기 탈때는 마래바님 덕분에 수화물 걱정은 덜겠습니다. ^^
-
마래바 2009.03.21 00:43 신고 조금만 주의해도 효과는 좋을 겁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드자이너김군 2009.03.20 18:53 저도 항상 비행기 탈때마다 분실이 걱정되던대.. 역시 엄청난 숫자군요.
그렇다고 짐을 항상 적게 가지고 다닐수도 없고 말이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마래바 2009.03.21 00:44 신고 그러나 전체 운송량을 볼 때는 그 확률이 높지는 않아요.. ^^;;
물론 잃어버리거나 파손 경험있는 분들에겐 설득력 있는 얘기로 들리지는 않겠습니다만.. -
홍대방랑 2009.03.21 00:29 아시는지모르겠지만 지금참 재미있네요 ㅎ
다음블로그뉴스 메인태그 5개중 하나가 항공인데
그밑에 달려있는 글중 2/3이 마래바님꺼 후후 -
마래바 2009.03.21 00:45 신고 아무래도 항공 관련한 블로그가 많지 않아서 그럴 겁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