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1/01 (9)
『한』가족
사실 항공 여행은 그 어느 교통수단 보다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고, 통계적으로도 나타나 있지만, 한 번의 사고가 가져다 주는 충격과 파장이 크기 때문에 두려움을 갖게 되는 게 인지상정이다. 가능하면 발생하지 말아야 할 것이 인명 사고이고, 그 중에서도 항공기 사고지만, 어쩔 수 없이 발생하기도 한다. 사고가 없다면 그야말로 천국이지 사람이 사는 세상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럼 최근 70년대에서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발생한 항공사고 중에서 가장 끔찍했던 대형 사고에는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자. 참고로 여기서는 인명 피해 순으로 나열했으며, 폭탄테러(Pan Am 103편-270명 사망, Air India 182편-329명 사망), 911 테러(2,753명 사망)와 같이 의도적인 항공기 사고는 제외했다...
항공여행을 맘 먹으면 가장 크게 걸리는 것이 비용이다. 아마 그 중에도 항공요금이 가장 큰 부담 아닐까 싶다. 저비용항공사가 등장하면서 항공 기본요금이 낮아지는 건 좋은데 대신 부가 수수료 등이 상승하거나 그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어 부담이 되기는 마찬가지다. 물론 부가 서비스를 최대한 줄이면 비용 자체도 줄일 수 있으니 이용하는 이용객이 맘 먹기에 달린 것이긴 하지만 말이다. 게다가 요즘 미국 항공사들은 저비용항공사가 아님에도 불구, 각종 수수료를 부가하거나 그동안 무료로 제공하던 아이템을 줄이고 있어 항공 여행하기에 상황은 더욱 나빠지고 있다. 혹시 올해 2001년에 새롭게 추가될 부가 수수료나 없어질 무료 아이템은 없을까? 주로 미국 쪽 항공사들과 관련된 것이지만 우리에게도 전혀 관계없는 것은 아니니..
우리나라 사람들 참 축구를 좋아한다. 남미나 유럽 사람들처럼 광적인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축구를 매우 좋아하는 편이다. 하지만 이런 축구 사랑은 국가대표 경기나, 특정 대회 등에만 한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지금은 조금 나이지긴 했지만 한 동안은 국내 축구 리그에서 관중석이 썰렁하기만 했다. "우 ~~~ 와 ~~~~" "짝짝짝~~" 미국을 출발해 한국으로 비행하고 있는 항공기 안에서 들려오는 환호와 박수 소리다. 항공기 안에서 무슨 일이 있었길래 환호성이 들려오는 걸까? "여러분을 xx까지 모시고 가는 기장입니다. xx 에서 열리고 있는 축구 대회에서 xx 와의 경기 상황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와 xxxx 와의 경기는 전반전이 종료된 상태로 홍길동 선수의 골로 현재 1 대 0으로 앞서가고 있습니다."..
"딩동 ~ ♬" "지금부터 xx 항공 xx 행 xxx 편 탑승을 시작하겠습니다. ~~~~" 항공여행을 시작한다. 비행기를 늘상 타는 사람들이야 무감각할테지만 가끔 이용하는 입장에서는 비행기를 탈 때마다 자그마한 흥분을 느낀다. 기내에 들어가 내 좌석이 어디인지 확인하고 짐을 선반에 올리고 좌석에 앉으 안전벨트를 고쳐맨다. 승객들이 어느 정도 자기 좌석을 찾아가 앉아 정리될 때 쯤 되니 이제 긴장감마저 느껴진다. 헌데 그 순간 묘한 냄새가 코 끝을 찡그리게 한다. 기내에서 은은히 풍겨나는 향수나 탈취제가 아닌 다소 역한 냄새다. 뭔가 생각해 보니 이건 매연 냄새다. 마치 자동차 배기구를 통해 나오는 연기 냄새와 다를 바 없다. 이건 왠일이지? 4만 피트 높은 고도를 비행하는 최첨단 교통수단인 항공기에서 매..
중년 남성의 대표적인 고민 중 하나가 탈모일 것이다.물론 젊은 나이에 머리가 빠지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개 중년의 나이에 들어서면 머리카락 힘이 없어지고 가늘어 지면서 쉽게 빠진다. 과학이 발달한 현재에도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걸 보면 앞으로 언제 이런 고민에서 해방될 지 알 수 없다.이런 분들은 특히 항공여행을 할 때 주의해야 할 게 있는데 다름아닌 샤워다.특히 장거리 항공여행을 하고 나서는 바로 샤워를 하거나 머리 감는 것은 삼가는 게 좋다.항공기가 높은 고도에 올라가도 항공기 안 환경은 지상과 비슷하게 유지된다. 그래야 승객들이 불편하지 않게 장시간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기내 환경이 지상과 비슷하다는 말이지 똑같다는 말은 아니다. 엄연한 차이가 있다. 특히 기압은 다소 차이가 있다.보..
공항에 나가 비행기 타기까지 과정 중에 가장 짜증나며 길게 느껴지는 절차가 바로 보안검색이다. 비행기 좌석 배정 받는 줄이야 짐도 부쳐야 하고, 좋은 좌석 배정 받아야 하니 기다리는 과정도 그리 짜증스러울 것 없겠지만 (물론 이것도 길면 짜증나기는 매한가지다. ㅎㅎ) 보안 검색을 위해 기다리는 줄은 유쾌할 것 없다. 예전에도 보안검색은 있었지만, 지금처럼 심하고 철저하지는 않았다. 보안검색이 이렇게까지 강화된 것은 911테러를 기점으로 해서다. 이처럼 항공기는 테러리스트의 좋은 공중납치(하이재킹) 표적물이 되곤 했는데, 주로 국제 갈등에 의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돼왔다. 여기에 발맞춰 항공기도 대응방안을 준비해왔는데 그 중의 하나가 통신수단을 이용해 항공기가 하이재킹(납치)되었다는 ..
올 겨울 날씨는 전통적인 삼한사온과는 거리가 먼 것 같다. 한번 추위가 몰아 닥치더니 떠날 줄을 모른다. 내일도, 모래도 계속 춥다고 하니 이런 날씨가 지속되니 따뜻한 나라로 여행 떠나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 업무에서 좀 벗어날 수 있으면 말이다. ^^;; 여행을 떠날 때 필수적인 것이 짐이다. 잠깐 외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생활을 위해서는 그동안 사용하던 물건이나 용품들이나 낯선 여행지에서 필요한 것들이 여행을 떠남에 꼭 필요하다. 이렇게 준비한 짐을 비행기에는 들고 타기 힘들기 때문에 주로 화물칸으로 부친다. 탑승수속 카운터에서 짐을 부치고 벨트를 따라 들어가는 짐을 보고 있자면 본격적인 항공여행을 실감하며 자그마한 흥분과 기대감으로 가득찬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기대감은 여지없이 깨져 버린..
제주항공이 부족한 조종사 수급 문제를 이웃 항공사의 어려움에서 해결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항공은 앞으로 일본항공(JAL) 출신 조종사를 영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이미 지난 해 11월 경 JAL 출신 조종사 2명을 채용했다고 한다. 그리고 앞으로 노선 확장과 항공기 도입계획에 따라 추가로 더 채용할 계획이다. 현재 일본항공은 강도높은 구조조정 중에 있다. 적자 노선은 과감히 폐지하고 그에 따라 조종사와 승무원, 일반직원 중 상당 수 줄이고 있으며, 이 작업은 상당시간 지속될 전망이다. 이런 상황이 사업확장을 하려고 해도 조종사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우리나라 저비용 항공사들에게는 숨통을 트일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 제주항공을 비롯한 우리나라 저비용항공사(LCC, Low Cost Carri..
새해가 밝았다. 지난 2010년이 이미 돌아올 수 없는 과거가 되어 버렸고, 2011년 1월 1일이 되었다. 다들 가족들과 함께 휴일을 만끽하고 있을 이 시간에도 항공 관계자들은 업무에 여념이 없다. 1월 1일은 여러모로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이날은 역사적으로 여러 의미가 있겠지만, 항공부문에서도 좀 특별한 날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일반적 항공기 형태인 고정익 비행기를 이용한 정기 스케줄 항공편, 그것도 여객편이 처음 시작된 날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SPT Airboat Line 은 1914년 1월 1일, 사상 최초로 정기 여객 항공편 운영을 시작했다. [항공역사] 오늘의 항공역사 (1월 1일) 운항했던 구간은 St. Petersburg 와 Tampa 를 비행했는데, 이용했던 비행기는 Benoist..